OS Choose
Ubuntu Server LTS
홈 서버를 구축하고 운용하는데 있어서 OS선택은 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윈도우는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하는 사용자들도 친숙하게 시작할 수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Windows은 서버용도로 사용하긴 어려운 점이 많다. 반면, 리눅스는 오픈소스이며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서버용도로 사용해왔고 그래서인지 자료도 풍부하다.
리눅스 배포판도 여러 종류로 나뉜다. 리눅스의 공통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은 아주 비슷하지만 각 배포판마다 특색이 있다. 배포판에는 Ubuntu, CentOS, RHEL 등이 있다.
홈 서버를 운용하기 위한 배포판를 고르는 기준은 단순하게 정했다. 우분투는 커뮤니티가 활발하기 때문에 인터넷 상 자료가 풍부하다. 매년 4월과 10월에 새 버전을 배포하는데, 짝수년 4월에 배포하는 버전은 LTS(Long Term Support)버전이다. 배포된 LTS버전은 5년 동안 지원된다.
서비스
홈 서버에서 아래와 같은 서비스들을 운용할 것이다.
Samba : 파일 쉐어. 윈도우OS에서 원격으로 홈 서버의 폴더에 접근할 수 있다.
vsFTP: 파일 쉐어
Transmission-daemon : 토렌트 다운로드.
flexget : 원하는 토렌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한다.
Plex : 미디어 스트리밍. 동영상을 TV, 스마트폰 등에서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.
블로그운영 : 이미 jekyll + github pages + gitbook 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제외KVM : 가상머신. windows10을 설치하여 엑티브X 설치가 필요한 은행 및 관공서 같은 사이트를 이용할 것이다.
Guacamole : 웹 브라우저에서 가상머신에 접근할 수 있다.
NextCloud : 클라우딩 서비스. 속도, 안정성 문제로 구글드라이브를 사용한다.Pi-hole : 광고 차단. 웹 서핑 시 광고를 걸러 쾌적한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도록 한다. 서버 성능 문제로 사용하지 않는다.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